
미국 증시 급변동! 트럼프 정책·PCE 인플레·애플·아마존 실적 총정리
트럼프의 압박, 인플레의 반격. 그리고 뒤집힌 시장 분위기. 7월의 마지막 날, 무엇이 투자 심리를 흔들었을까요?
안녕하세요, 민브입니다. 오늘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뉴욕증시 마감을 확인했는데…
와, 이거 좀 심상치 않더라고요. 전날까지 흐름이 좋았던 S&P500도 결국 하락 전환.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제약사 압박 발언은 예상보다 훨씬 강도가 셌고요,
인플레이션 지표는 또 왜 이렇게 ‘끈적끈적’하게 나왔는지.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시장의 반응, 경제 지표, 정책 이슈까지 싹 정리해드릴게요.
오늘 내용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
트럼프 압박과 증시 하락 요약
7월 31일 미국 증시는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제약사 압박이 시장에 직격탄을 날렸죠.
일라이 릴리, 노보 노디스크, 화이자 등 17개 주요 제약사에 직접 서한을 보냈고,
해외 최저 약가에 맞추라는 압박이 가해졌습니다.
S&P500은 장중 한때 1% 가까이 상승했지만 결국 0.4% 하락 마감했습니다.
또한 브라질, 인도에 대한 일방적 관세도 시장 불확실성을 자극했으며,
멕시코는 관세 유예 상태에 머물렀습니다.
경제 지표 요약 및 영향
지표 | 결과 | 예상 / 이전 | 해석 |
---|---|---|---|
6월 근원 PCE | 2.8% | 예상 2.7% / 이전 2.7% | 인플레 경로 불확실 |
6월 PCE | 2.6% | 예상 2.5% / 이전 2.3% | 인플레이션 반등 경고 |
주간 실업수당 | 218K | 예상 224K / 이전 217K | 고용시장은 안정 |
시장의 반응과 섹터별 흐름
이번 장에서는 대형 기술주와 제약주가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특히 트럼프 압박의 직격탄을 맞은 헬스케어 섹터는 하락했고,
애플은 실적 선방으로 소폭 반등했지만 아마존은 시간외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 📉 제약 섹터: 릴리, 노보 노디스크, 화이자 모두 하락
- 📊 기술 섹터: 애플은 긍정적, 아마존은 실적 전망 실망
- 📉 에너지 섹터: 유가 하락으로 에너지주 전반 약세
- 📈 국채 수익률: 장단기 모두 소폭 상승하며 달러 강세
근원 PCE와 소비 흐름
미국 연준이 가장 주목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2.8% 상승하며 시장 예상을 소폭 웃돌았습니다.
이는 인플레이션 둔화 흐름이 멈췄을 수 있다는 우려를 키웠고, 실제로 소비자 지출 역시 정체를 보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발표된 실질 지출은 인플레이션 조정 이후 소폭 증가에 그쳐,
경기 모멘텀이 둔화되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고용은 탄탄하지만 소비는 맥을 못 추는 상황.
과연 다음 주 발표될 소매판매는 어떨까요?
고용·금리·연준 스탠스
항목 | 내용 요약 | 시사점 |
---|---|---|
신규 실업수당 청구 | 218K로 안정 | 고용시장은 여전히 견조 |
노동비용 증가율 | 3.6%로 하락 | 인플레 압력 약화 |
연준 통화정책 방향 | 9월 금리인하 가능성 보류 | 파월 “결정된 바 없다” |
빅테크 실적과 시장 전망
장 마감 후 발표된 애플과 아마존의 실적은 극명하게 엇갈렸습니다.
애플은 시장 예상을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고,
주가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반면 아마존은 실적 전망이 실망스러워 시간외에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 애플: 아이폰 수요 유지, 서비스 매출 성장
- 📦 아마존: 광고와 AWS 성장 정체 우려
- 📉 시장 전체: 기술주 편향 심화, 밸류에이션 부담 여전
자주 묻는 질문 (FAQ)
해외 최저 약가에 맞추라는 발언은 제약사 수익성 훼손 가능성을 높였고, 이는 투자심리를 급격히 위축시켰습니다.
연준이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가장 신뢰하는 지표로, 통화정책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거의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나오며 고용시장에 과열은 없다는 신호를 줬습니다.
연준은 아직 9월 결정을 유보한 상태지만, 인플레이션 반등 조짐으로 인해 금리 인하 기대감은 낮아졌습니다.
애플은 선방했지만 아마존의 실적 전망이 실망스러웠습니다. 기술주 전반의 상승세는 제한적이었습니다.
7월 고용보고서, ISM 제조업 지수,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등이 핵심이며 시장 방향성을 결정지을 수 있습니다.
7월 마지막 날 미국 증시는 꽤 긴장된 분위기로 마감했어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메시지는 늘 예측 불가능한 흐름을 만들곤 하죠.
그리고 인플레이션 지표도 다시 꿈틀대고 있고요. 이럴 땐 확실히 ‘데이터에 집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한 시점 같습니다.
여러분은 이번 시장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
함께 시장을 공부하고, 흐름을 나누며 더 현명한 투자자가 되어봐요 😊
< 관련 인사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