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 4조 클럽 진입! 금리 인하 기대감에 비트코인 11만2천 돌파
엔비디아 4조 달러 돌파! 그런데 트럼프는 또 관세 폭탄을… 과연 이 상승세, 진짜일까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도 미국 증시 마감 정리 소식을 가지고 왔어요.
개인적으로는 장중에 엔비디아 시총이 4조 달러를 넘겼다는 소식에 소름이 돋더라고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의 고율 관세 발언에 다시 불안감이 엄습했습니다.
시장은 상승 마감했지만, 그 속사정을 뜯어보면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하루였습니다. 그럼 오늘도 천천히, 깊이 있게 살펴볼게요.
기술주 랠리와 S&P500 최고치 임박
엔비디아가 다시 한번 일을 냈습니다.
장중 한때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넘기며 기술주 강세장의 중심에 섰고,
이 흐름은 나스닥100과 S&P500 지수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었죠.
이런 분위기 속에서 시장은 무역 리스크보다 기업 실적과 기술주의 성장성에 더 집중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결국 S&P500은 장중 사상 최고치 근처까지 올라왔고,
위험자산 선호 심리까지 강하게 반영되면서 비트코인 가격도 11만 2천 달러를 돌파했어요.
기술주 주도의 강세장이 당분간은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6월 FOMC 의사록에서 읽는 연준의 속내
연준이 발표한 6월 FOMC 의사록은 시장에 적잖은 해석의 여지를 남겼습니다.
관세가 물가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위원 간의 시각차가 뚜렷했거든요.
그럼에도 대다수는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둔 점에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자극했죠.
쟁점 | 위원 의견 |
---|---|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 | 일시적 상승 VS 장기적 영향 |
연내 금리 정책 | 다수 위원, 금리 인하 적절 |
트럼프 관세 폭탄, 시장은 무감각해졌을까?
트럼프 대통령은 또 한 번 예상을 깨고 무역 전쟁의 신호탄을 쐈습니다.
필리핀, 이라크, 브라질 등 여러 국가를 겨냥한 고율 관세 부과 소식이 전해졌죠.
예전 같았으면 시장이 요동쳤을 텐데, 이제는 관세 뉴스에 시장 반응이 둔감해진 모습입니다.
- 🔹 브라질산 제품에 50% 관세 부과 예고
- 🔹 아시아·중동 6개국 대상 서한 공개
- 🔹 시장은 관세 자체보다 협상 가능성에 주목
투자자들은 이제 트럼프의 강경 발언이 협상 카드일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으며,
주식시장 역시 실제 충돌보다는 전략적 수사에 가깝게 받아들이는 듯합니다.
업종별 주요 흐름과 종목별 이슈
업종별 흐름은 엇갈렸습니다. 특히 헬스케어 섹터에서는 유나이티드헬스가 메디케어 지급 조사 이슈로 하락했고,
반대로 보잉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긍정적인 뉴스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종목 | 이슈 | 반응 |
---|---|---|
유나이티드헬스 | 메디케어 지급액 관련 조사 | 하락 |
마이크로소프트 | AI 매출 반영 투자의견 상향 | 상승 |
보잉 | 6월 항공기 인도량 증가 | 상승 |
경제 지표와 채권·원자재 시장 반응
경제 지표와 원자재, 채권 시장 역시 주목할 만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도매재고는 예상대로 감소했지만,
원유 재고는 깜짝 증가해 시장을 놀라게 했죠. 그 여파로 천연가스 가격은 하락했고, 금과 WTI는 소폭 상승했습니다.
- 📉 10년 국채 수익률: 4.405% → 4.336% 하락
- 📈 금 가격: 3,311.00 → 3,322.50 상승
- 🛢️ WTI: 68.18 → 68.29 상승
- 🔥 천연가스: 3.349 → 3.206 하락
투자자 심리와 월가 주요 코멘트 요약
월가에서는 관세 이슈가 재부각됨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낙관론이 우세했습니다.
아래 주요 코멘트를 보면 투자자들의 심리 상태를 보다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크레이그 존슨 (파이퍼 샌들러): “관세 이슈에 시장이 무감각해지고 있다.”
- 🗣️ 로스 메이필드 (베어드): “시장은 위협보다는 타결 가능성에 베팅 중이다.”
- 🗣️ 제프 로치 (LPL): “연준은 성급해질 이유가 없다.”
- 🗣️ 크리스 자카렐리 (노스라이트): “실적과 경제에 대한 신뢰로 주식 매수 지속.”
자주 묻는 질문 (FAQ)
이전과 달리 시장은 관세 발표를 ‘협상용 카드’로 해석하는 분위기입니다.
단기 충격은 제한적일 수 있으나, 장기적인 무역전쟁으로 이어질 경우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기술주의 대장 역할을 확인하는 상징적인 수치입니다.
단순한 시가총액이 아니라 AI 흐름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FOMC 의사록에서 ‘연내 인하 가능성’에 대해 다수의 동의가 확인되었습니다.
경제지표와 물가 흐름에 따라 시점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기관 자금 유입도 한 몫하고 있죠.
과거 경험상 ‘소음’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학습효과 때문입니다.
단, 실제 적용 시 충격이 다시 커질 수 있습니다.
7월 10일(목) 예정된 실업수당청구건수와 연준 인사의 발언입니다.
이외에도 30년물 국채 입찰 결과가 금리 기대심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오늘 미국 증시는 기술주 중심으로 강하게 반등했지만, 그 이면에는 여전히 관세 이슈라는 불확실성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예고 없는 움직임은 항상 변수로 작용하죠.
그럼에도 시장은 실적과 성장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공포’보다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혹시 오늘 증시 흐름을 보며 마음이 요동쳤다면,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도 공유해주세요.
다 함께 이야기 나누며 정보와 인사이트를 나눠보는 건 어떨까요?
< 관련 인사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