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 상승이 끝나지 않았다? 온체인 데이터로 본 12만 달러 돌파 가능성
📈 “비트코인, 진짜 고점일까?” 상승 종료를 말하기엔 아직 이르다는 증거들이 있습니다. 데이터를 보면 여전히 희망이 남아있죠.
안녕하세요, 요즘 비트코인 차트 볼 때마다 마음이 쿵쾅거리는 분들 많으시죠?
저도 요즘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BTC 가격부터 확인하는 게 일상이 됐어요.
그런데 어제보다 가격이 빠졌다고 너무 낙담하진 마세요. 아직 희망이 있다는,
아주 흥미로운 온체인 데이터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니까요.
오늘은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트코인의 진짜 고점이 어디인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목차
비트코인 온체인 데이터의 시사점
비트코인이 11만 달러를 돌파한 지금, 많은 이들이 “이게 끝인가?” 라는 질문을 던지고 있어요.
그런데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데이터를 보면 오히려 반대의 시그널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온체인 데이터는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죠.
실현순손익(Net Realized Profit/Loss, NRPL) 지표를 보면, 이익 실현이 과도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즉, 비트코인을 보유한 투자자들이 아직 본격적인 차익 실현에 나서지 않았다는 뜻인데요. 이는 현재의 가격이 고점이 아니라는 해석으로 이어집니다.
NRPL 지표로 본 상승 여력
크립토 단(Crypto Dan)이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이번 상승 국면에서의 이익 실현 수준은 과거 상승 사이클과 비교해 매우 제한적인 수준입니다.
2024년 3월과 11월의 고점에서 이익 실현이 급증했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죠.
비교 시점 | NRPL 반응 | 시사점 |
---|---|---|
2024년 3월 고점 | 급격한 이익 실현 | 상승세 종료 신호 |
2025년 5월 현재 | 완만한 이익 실현 | 상승 지속 가능성 |
불 트랩 가능성과 하락 경고
물론 낙관론만이 존재하진 않아요.
알리 마르티네즈(Ali Martinez) 같은 분석가는 현재의 움직임을 ‘불 트랩(Bull Trap)’일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격이 단기 고점을 형성한 뒤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입니다.
- 🔹 가격이 주요 저항선 돌파 후 급락
- 🔹 매수세가 유도되며 트랩 형성
- 🔹 10만 달러 이하 재진입 가능성 존재
따라서 상승 기대감만 맹신하기보다는, 리스크 관리도 중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겠죠.
비트코인 소매투자자의 참여 현황
흥미로운 건, 현재 비트코인 상승장에서 소매 투자자들이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과거 사이클에서는 일반 개인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며 고점을 형성했지만,
현재는 아직 본격적인 참여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요.
이는 아직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는 뜻일 수 있어요.
개인 투자자의 진입이 늦어질수록 시장은 더 오랜 시간동안 안정적인 랠리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 ✅ 온체인 지표상 소매 지갑 활동 미미
- ✅ 대형 거래소 출금 대비 입금 적음
- 🔲 FOMO(공포에 의한 매수) 현상 아직 제한적
바이낸스 유입 데이터 분석
크립토퀀트의 바이낸스 거래소 유입 데이터를 보면,
BTC를 보유한 고래 투자자들이 여전히 대규모 매도를 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확인됩니다.
이는 그들이 아직 더 큰 상승을 기대하고 있다는 해석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데이터 항목 | 의미 | 해석 |
---|---|---|
바이낸스 입금량 감소 | 매도 준비 움직임 없음 | 고점 도달 가능성 높음 |
고래지갑 보유량 유지 | 장기 보유 의도 | 매도 압력 제한적 |
12만 달러 돌파? 투자자들이 주목할 점
요약하자면, 실현 이익 수준은 낮고, 소매 투자자는 아직 본격 진입하지 않았으며,
고래들도 매도에 나서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트코인의 상승 여지는 여전히 충분하다고 볼 수 있어요.
크립토 단의 분석대로 12만 달러 돌파 가능성은 실현 가능성이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시장은 예측을 배신하기도 하죠. ‘불 트랩’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리스크 관리도 꼭 병행하시길 바랍니다. 상승만큼이나 하락 가능성도 전략적으로 준비해두는 것이 진정한 투자자의 자세겠죠.
온체인 데이터는 블록체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거래와 지갑 활동 데이터를 말하며, 투자자 심리나 가격 흐름을 예측하는 데 활용됩니다.
실현된 손익(Net Realized Profit/Loss)을 통해 투자자들이 이익을 실현했는지, 손실을 감수하고 매도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시장의 고점/저점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가격이 주요 저항선을 돌파한 듯 보이다가 급격히 하락하면서 매수자들을 함정에 빠뜨리는 현상입니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상승세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시그널이 많지만, 시장은 언제든 변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소매 투자자의 대규모 진입은 종종 시장 고점을 형성하므로, 그들의 움직임은 향후 변동성에 중요한 힌트가 됩니다.
대규모 거래소 입금은 매도 준비의 신호로 해석되며, 고래 투자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비트코인 시장은 언제나 예측 불가능한 파도 위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통해 흐름을 읽을 수 있다면, 단순한 감이 아닌 근거 있는 확신으로 투자할 수 있게 되죠.
오늘 글이 여러분에게 그러한 시야를 제공하는 작은 단초가 되었길 바랍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나눠주세요.
그리고 이 글이 유익했다면 주변 투자자분들과 공유해주세요!